3월, 2018의 게시물 표시

단축 URL을 이용하면 문자나 카톡으로 보내기 좋습니다.

이미지
클라우드에 저장된 모든 콘텐츠, 문서, 사진, 앨범, 그룹, 사용자, 파일, 일정 등등 모두 고유한 주소가 있습니다. URL이라고 하고 아래처럼 복잡하게 구성됩니다. 콘텐츠가 많으니 서로 중복되면 안되겟죠. 그리고 다른 사람이 예상해서 URL을 만든다면 더욱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URL을 복잡하게 만듭니다.  이용하는 사람은 받은 주소 클릭을 하면 접속할 수 있으니 큰 문제는 없는데 메일로 받는 것은 괜찮은데 카톡이나 문자로 받으면 약간 기분이 이상합니다. 모르는 사람은 이상한 바이러스 같아서 누르지 않기도 하고,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카톡일 경우에는 URL 주소가 너무 길어서 방해가 됩니다. 이런 이유로 단축 URL 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구글에서 검색하면 많은 단축 URL 서비스가 나옵니다. 대표적인 것언 구글에서 제공하는 goo.gl , Bit.ly , 네이버 me2.do 등이 있습니다. 선호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확장 앱스토어를 이용하면 평소에도 빠르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Bit.ly에는 추가적으로 URL을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의미있는 주소로 만들면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축 URL의 장점중에 하나는 접속 통계를 볼 수 있다는 겁니다. 시간, 일, 주간, 월단위로 통계를 확인할 수 있고, 접속한 지역이나 디바이스 종류도 알 수 있습니다. 고객에게 전달한 자료의 경우에는 몇번이나 봤는지도 확인할 수 있겠죠. 클릭 했는지 언제 했는지도 알 수 있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단축 URL을 받았을때 원래 URL을 확인하는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스미싱(SMishing) 사기 방지를 위한 팁(짧은 주소 확인방법)

구글 포토를 이용하여 행사사진 공유하기

이미지
최근에는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이 좋아져서 찍은 사진들 크기도 크고 사진량도 많습니다. 학교 행사사진을 배포할 때 카톡이나 이메일을 사용하면 보내는 사람도 불편하지만 받는 사람도 정리하기가 불편하고 저장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구글 포토는 사진을 고압축 형태로 저장하고 AI 기술을 이용하여 찾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스마트폰에 동기화를 하면 자동으로 서버에 저장이 되어 별도로 사진을 관리할 필요가 없고, 스마트폰 분실시에도 사진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학교 관련 사진은 학교 계정에서, 개인 사진은 개인 계정으로 정리하면 좋습니다. 1. 구글 포토에 접속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하여 URL을 직접 입력하던지 https://photo.google.com, 우측 상단에 바둑판 모양의 메뉴를 눌러서 구글 포토를 선택합니다. 2. 사진 업로드 탐색기에 찍은 사진들을 구글 포토 브라우저에 드래그 앤 드롭 합니다. 앨범을 만들면 사진을 묶을 수 있기 때문에 앨범으로 묶을 사진을 등록합니다. 예) 2018 졸업식 사진, 통영 봄 여행, 일요일 나들이 사진, ㅇㅇ행사사진 사진 및 동영상 모두 가능합니다. 3.  앨범 만들기 사진이 업로드가 완료되면 관리를 위하여 앨범을 만듭니다. 사진이 많지 않으면 앨범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4. 사진, 앨범 공유하기  클라우드에 저장한 파일, 문서, 사진 등 모든 것은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가 있습니다. 이 주소를 친구나 타인에게 전달하면 사진을 압축해서 보내지 않아도 전달 할 수 있고, 댓글 등을 통하여 소통할 수 있습니다. 5. 다른 사람들과 앨범에 사진 등록 방법 여러사람이 행사나 여행을 갔을 때 사진을 카톡방에 올리면 정신이 없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앨범을 만들때 다음과 같이 ' 다른 사람이 사진을 추가하도록 허용 '을 선택하면 다른 사람들도 해당 앨범에 사진을 등록해서 함께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진 보내줘 이런 이야기 하지 않아서 좋...

[세팅] 크롬 브라우져에 로그인하기

이미지
웹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Id와 pw를 입력해서 본인임을 증명하고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보통 웹페이지에 로그인이라는 메뉴가 있고, 이 로그인을 눌러서 사용자가 직접 계정정보를 입력하게 됩니다. 구글 서비스도 로그인이 안되어 있을 경우에는 로그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크롬 브라우져에서는 로그인 방식을 하나더 제공합니다. "크롬에 로그인" 이라는 방식입니다. 즉, 크롬 브라우저에 본인의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를 전환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웹사잍트에 로그인이 아니고 크롬 브라우져로 로그인을 하면 장점이 많습니다. Google 계정과 사용 중인 브라우저가 연결되어 한층 더 맞춤설정 이용 북마크, 방문 기록, 비밀번호, 기타 설정이 동기화되어 다른 기기에서도 이용 Gmail, YouTube, Google 검색 및 기타 Google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 이 기능을 이용하면 여러대의 노트북과 스마트기기에서 구글을 이용시 북마크나 비밀번호 등이 동기화되어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에서 북마크한 내용이 스마트폰 크롬에도 동기화되어 나타나고, 방문정보도 기기에 상관없이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앱스토어에서 브라우저에 설치한 3rd party 앱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롬에 로그인하기 때문에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별도의 로그인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몇가지 공통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질문) 크롬에 로그인되어 있으면 별도의 로그인이 필요없는데 보안에 취약하지 않나요?     --> 이미 컴퓨터는 허가된 사용자가 이용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개인인증이 되었다고 판단하고 데이타는 모두 암호화 동기화되므로 안전합니다. 질문) 계정이 여러개인데 여러개를 등록할 수 있나요?    --> 사용자 전환에서 계정추가를 할 수가 있습니다.  질문) 브라우...

외부 학생들과 공유하기 위한 팀폴더 이용하기

이미지
학교관련 수업이나 활동을 진행할 경우에 학교 계정(id@g.skku.edu)가 없을 경우에는 학교 구글계정의 무제한 용량이나 보안 기능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구글 개인 계정(id@gmail.com)의 경우 15GB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용량이 차면 개인 메일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나 한메일을 사용할 경우에도 자료 교환이 쉽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학교계정에서 팀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에 일반 외부계정을 등록하면 무제한 용량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팀폴더의 팀징인 팀폴더에 저자하면 해당 파일이 개인소유에서 팀폴더의 소속 도메인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삭제 및 해당 파일의 소유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 지메일 사용자를 수정권한으로 등록합니다. 권한에는 아래와 같이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사용자에 맞게 권한을 부여합니다. 사용자외에도 그룹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전체권한(기본값) :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권한 수정권한 : 수정할 수 있고 업로드 할 수 있지만 삭제는 불가 댓글권한 : 수정, 업로드, 삭제 할 수 없고 해당 파일에 댓글만 작성 가능 보기권한 : 보기만 가능한 권한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id@gmail.com)는 다음과 같은 메일을 수신합니다. 팀 드라이브 열기를 클릭하면 기존에 없던 팀드라이브가 나타나고 여기에 해당 폴더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잘 보면 파일 소유자는 g.skku.edu 라는 것이 보입니다. 즉, 여기에 등록하는 모든 파일은 개인이 소유하는 것이 아닌 g.skku.edu 라는 도메인이 소유하게 됩니다. 당연히 개인 저장용량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개인 사용자 권한을 댓글 권한으로 변경하면 다음과 같이 삭제를 비롯하여 수정할 수 있는 메뉴가 모두 선택하지 못하게 변경됩니다. 팀폴더를 만든 관리자의 세팅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가 변경됩니다. 팀드라이...

안전한 구글 학교계정 사용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세요.

이미지
구글 학교계정에 휴대폰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계정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불법적인 로그인 시도시 사용자에게 알림 2. 비밀번호 분실시 초기화 3. 새로운 환경에서 사용시 사용 승인 등록은 URL을 클릭하거나 https://myaccount.google.com/privacy?utm_source=OGB&utm_medium=act#personalinfo 우측 자신의 사진 > 내계정 > 내 개인정보에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지메일에서 미리 준비된 답변 사용하기

이미지
이메일을 통해서 반복된 답변이나 준비된 답변을 해야 하는 경우에 좋습니다. 학생 상담이나 응대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설정 > 실험실 > 준비된 답변에서 사용을 누른 후 변경사항 저장을 꼭 눌러주세요 #B180315

대학교 동아리의 SNS상에 효율적 홍보 방법

이미지
학기초가 되면 학교의 많은 동아리에서 신입생 모집을 위하여 유치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각 동아리의 특성도 알리고 다양한 행사를 통하여 재능있고 관심있는 신입생의 눈길을 잡으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신입생이나 재학생들이 대부분 SNS나 인터넷에 친숙한 세대임에도 오프형태의 모집만을 진행하는 것에 약간 궁금증이 생깁니다. 요즘에 명함에도 자신의 블로그나 SNS 계정을 함께 작성해서 다니는 직장인들도 많은데 학교 홍보 현수막에는 그런 내용을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동아리 활동 소개나 홍보는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고성능으로 다양한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산 및 관리가 편리해졌습니다. 또한, 신세대 학생들은 텍스트보다 유투브 소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구글 G Suite에는 학교내 홍보 및 소통을 위한 도구로 페이스북과 유사한 플러스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plus.google.com ) 학교 계정(id@g.skku.edu)로 구글에 로그인하면 학교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나타나고 여기에 동아리에 관련한 다양한 홍보 및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제는 대자보나 플랭카드보다 학우들이 관심있어할 컨텐츠로 승부를 할 시대인거 같습니다. 관심있는 동아리는 구글코디에게 연락주세요. ( googlecody@g.skku.edu )

[신기능] 구글 행아웃 챗(chat.google.com)

이미지
구글이 발표하고 새롭게 구글 서비스에 포함한 행아웃 챗(Hangout chat)은 채팅기반의 협업도구입니다. 기존에 슬랙(slack)을 사용했던 사용자라면 쉽게 사용할 수 잇습니다. 행아웃 챗의 목적은 이메일의 사용량을 줄이고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협업을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특히, 아카이빙을 지원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사용에 따른 정보 분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카톡 대화가 없어졌다는 이야기는 업무상에서 없어지겠죠. 행아웃 챗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워크플로우의 속도를 높여줄 25개의 봇과 함께 출시되었습니다. 제로(Zero), 에그나이트(Engyte), 줌.ai(Zoom.ai), 트렐로(Trello), 지라(Jira), 라이크(Wrike) 등이 그 중 일부이고 세일즈포스의 고객 관계 관리 소프트웨어도 통합된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업무 자동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전망입니다. 기존에 사용던 트렐로와 드라이브 봇을 추가해서 사용한다면  봇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  https://support.google.com/hangoutschat/answer/7652736?hl=ko&ref_topic=7649317

구글 문서 작성시 수정 또는 신규작성시 공동작성자에게 알리기

이미지
공유된 구글 드라이브에 문서를 새로 등록하거나 기존에 공유된 문서를 수정시에 공동작성자로 등록된 팀원에게 내용을 알리는 방법입니다. 메뉴 > 메뉴 > 공동작성에게 알리기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면 공동작성자에게 신규 작성내용이나 변경내용을 알릴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 팀 드라이브 멤버에게 메일 보내기

이미지
여럿사람이 함게 팀 드라이브를 사용할때 새로운 문서를 등록하고 매번 알려줘야 할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특히나 팀 드라이브를 groups 기반으로 하지 않고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팀 드라이브에서 해당 팀 드라이브 우측 마우스버튼을 눌러서 메일 '멤버에게 이메일보내기(Email Members)'를 선택하고 해당 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대상자중에서 필요없는 사람은 삭제를 할 수 있고, 권한(Full, Edit)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